디지털전자 9대 트렌드 대응 어떻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4:05
본문
Download : 2007010.jpg
◇빅 트렌드를 읽어라=WTO체제에서 국가 간 개방과 협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터키·베트남·태국(TVT)등 신흥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strategy적 접근이 시급하다. 중저가를 무기로 하이얼·레노버 등 China업체의 국내 진출이 늘고 있는 가운데 현대시스템·기가텔레콤·대우일렉 등 중견업체의 해외매각 事例가 늘고 있는 것도 drawback(걸점)으로 꼽혔다. IT·전자업종의 독자개발 비중은 다른 산업 average(평균) 52%보다 현저히 높은 78%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102인치 PDP, 청소용 로봇, 노트북PC용 2차전지 등의 시제품이 나오면서 조기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시켜 줬다. 우리나라 디지털전자산업이 주요 IT제품을 무세화한 ITA협정발효(97년)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거둔 점은 염두에 둘 만하다.
◇부문별 기술 격차 극복이 관건=우리나라 디지털전자산업은 응용 및 생산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는 데 비해 설계기술과 the gist 원천기술이 취약한 것은 극복해야 할 처리해야할문제다.
라이프사이클이 짧은 산업적 特性에도 불구하고 협력사업이 미흡한 점도 지적됐다.
China과의 기술격차 축소는 우리에게는 위험 요인이다. 대형 M&A 확대가 점쳐지는 이유다. 대규모 생산시설 없이 R&D, 브랜드·디자인·marketing , AS만 수행하는 사업모델도 급부상하고 있다. 스마트의류와 원격진료시스템, 주조공정을 기업 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계한 e매뉴팩처링 등은 굴뚝산업을 신산업화한 대표적 事例다. 이 같은 주도권을 지키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향후 環境change(변화)를 정확히 읽고쓰기 적절히 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게 산자부의 견해다. 산자부는 융합신기술을 15대 차차세대 strategy기술처리해야할문제로 꼽았고 연초 ‘디지털융합신산업 기본계획’도 마련키로 했다.
순서





디지털전자 9대 트렌드 대응 어떻게…
2008년 종료되는 10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조기 산업화하는 것도 중요 처리해야할문제로 꼽혔다. 기존 산업체계가 융·복합화와 함께 다양화·세분화되는 추세를 주목한 것도 특징이다. 특허·環境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국전자산업진흥회를 중심으로 특허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대·중소기업 간 ‘그린파트너십’을 2, 3차 협력업체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우리나라가 IT에 강점이 있다는 점은 융합기술 선점의 주요 포인트로 해석된다
레포트 > 기타
다. 지적재산권 및 표준대응 strategy도 이제 기업의 생존조건이 되고 있다는 게 산자부의 판단이다.
설명
우리나라는 메모리반도체·CDMA휴대폰·디스플레이 등에서 세계 1위에 올라 있고 디지털전자 부문은 단일산업으로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수출 1000억달러를 넘어섰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디지털전자 9대 트렌드 대응 어떻게…
산업자원부가 제시한 9대 디지털전자산업 트렌드는 앞으로 국가와 산업 간 경계가 없어지고, 완제품 생산능력보다는 특허·표준·環境규제 등이 강조되는 게 골자다. CDMA·디지털TV·DVDP 등 주요 제품이 지급하는 로열티는 여전히 판매가의 5∼15%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전자 9대 트렌드 대응 어떻게…
디지털전자 9대 트렌드 대응 어떻게…
Download : 2007010.jpg( 67 )
◇政府(정부)의 정책 목표(goal)는=政府(정부)는 한미 FTA를 통해 비교우위 제품의 성장을 강화하면서 기술 취약분야를 보완하는 계기로 삼는다는 목표(goal)다.
또 3월에 China판 유해물질관리지침(차이나RoHS)이 발효되는 등 環境규제 강화도 새 무역장벽으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시장이 대기업 위주로 재편되는 것은 중견기업의 쇠퇴를 의미한다. 기술 독점 유지를 위한 국제 특허분쟁이 확대되고 국제표준을 선점하지 못하면 우수기술도 사장되는 추세도 마찬가지다.
政府(정부)는 전통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개발에도 힘쓰기로 했다. 한미 FTA는 디지털전자산업에는 대체로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