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의 합성 결과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1:28
본문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hwp
이때 나일론 한 단위체가 생성될 때 HCl은 2분자씩 생성되므로 반응하는 몰수는 0.0399×2 = 0.0798mol이다.
Download : 일반화학실험 -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hwp( 61 )
ⅲ) NaOH의 몰수
test(실험) 에 사용된 NaOH의 몰수 : 3.2g÷20g/mol = 0.08mol
2.실험결과
계면축합 반응해 의해 나일론이 생성될 때 Hexamethtylen diamine과 Sebacoyl chloride은 1:1로 반응하여 나일론을 용출시키기 때문에 이론(理論)상 최대로 반응한 Hexamethtylen diamine과 Sebacoyl chloride의 몰수는 각각 0.0399mol 이다.
일반화학실험 -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의 합성 결과 보고서
ⅰ)이론(理論)상의 나일론의 생산량(이론(理論)상 수득량)
Sebacoyl chloride의 분자량 : 239.14g/mol
ⅱ) Sebacoyl chloride의 몰수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실험에 사용한 Hexamethtylen diamine의 양 : 4.64g
3.고찰
위의 자료(資料)와 계산식을 바탕으로 이론(理論)상의 나일론을 생산량을 계산해보면
NaOH의 분자량 : 20g/mol
일반화학실험,계면중합,나일론 6,10의 합성,나일론
1.실험제목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의 합성 2.실험결과 ⅰ) Hexamethtylen diamine의 몰수 Hexamethtylen diamine의 분자량 : 116.24g/mol 실험에 사용한 Hexamethtylen diamine의 양 : 4.64g 실험에 사용된 Hexamethtylen diamine의 몰수 : 4.64g÷116.21g/mol = 0.0399mol
Hexamethtylen diamine의 분자량 : 116.24g/mol
실험에 사용된 Hexamethtylen diamine의 몰수 : 4.64g÷116.21g/mol = 0.0399mol
test(실험) 에 사용한 Sebacoyl chloride의 양 : 9.56g
ⅳ) 수득량
test(실험) 에 사용한 NaOH의 양 : 3.2g





순서
test(실험) 에 사용된 Sebacoyl chloride의 몰수 : 9.56g÷239.14g/mol = 0.0399mol
다.
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의 합성
110.49g
설명
ⅰ) Hexamethtylen diamine의 몰수
1.실험題目(제목)
그리고 NaOH는 반응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반응 중 생성된 HCl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