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경쟁시장 -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7:15
본문
Download : 완전경쟁시장 -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hwp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완전경쟁시장 -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
1. 완전경쟁시장
2. 생산 중단 가격 (Shutdown price)
우리는 앞의 글에서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MR = MC 인 생산량 Q 를 생산할때 이뤄진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 완전경쟁시장 -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완전경쟁시장 -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hwp( 88 )
완전경쟁시장의 개념과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다.
따라서 위 그래프에서 보신대로 완전 경쟁 시장내의 어떤 기업의 이윤극대 생산량은 a 점의 생산량인 Q* 가 될 겁니다.
그런데 이 둘의 차이를 가만히 생각해 보면. . .
생산 중단의 경우는, 상황이 좋아지면 언제든지 다시 생산을 가동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고정비용은 건드리지 않는 것이 됩니다. . 그래서 일시적으로 생산을 중단하고 있다면, 이 경우 건물이나 설비등과 같은 데 소요된 비용 (고정비) 는 문자그대로 매몰 비용이 되어 버립니다.
그런데 아예 그 장사가 비전이 없을것으로 판단되어서, 건물도 팔고 설비도 팔아버린다면 이 경우는 고정비용이 매몰비용이 아닌게 되죠. . 판만큼 돈을 받으니깐, 고정비는 없는 것입니다. . 예를들어 내가 건물을 구입하고 설비를 해놨는데 생산을 하려니 요즘 제품 가격이 너무 낮다.
이와 달리 exit (퇴출) 이라는 것은 기업이 아예 그 바닥-_-에서 손을 씻고 나오는 것을 얘기 합니다. 즉. 아래 그림처럼 생산자의 공급량과 가격사이의 變化를 나타내는 공급곡선이 MC 곡선이 되는 겁니다.
2. 생산 중단 가격 (Shutdown price)
이제 얘기를 더 진행해 나가기 위해서 槪念을 몇 가지 알아보고 갑시다.
shutdown (생산중단) 이라는 것은 기업이 일시적으로 생산을 멈추는 것을 얘기 합니다.
그런데 그래프를 가만히 보시면. . . 만약 물건 가격이 계속 오르면. . P = MR 이니깐, MR 과 MC 가 만나는 점 역시 같이 올라가게 되어서.
결국 이 기업의 공급곡선은 MC 곡선과 똑같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께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따라서 생산중단의 경우는 고정비가 존재하는, 즉 `단기` (short-run) 적인 槪念이고.
exit 은 고정비용이 존재하지 않는 `장기` (long…(투비컨티뉴드 )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완전경쟁시장의 개념과 기업의 단기 공급곡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여러분께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시한번 강조 하지만 위의 곡선은 완전 경쟁 시장내의 `한 기업` 의 공급 곡선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