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홈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1:07본문
Download : 그룹홈 발표자.hwp
: 우리나라 아동보호의 실태(實態) 및 보호양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아동그룹홈 실태(實態)와 발전 방법
그룹홈의 역할
김석산(한국복지재단 회장) : 아동복지서비스 전文化(문화) 방법-가정위탁보호사업과 그룹 홈 사업을 중심으로
순서
그룹홈의 정이
보건복지부 가족ㆍ아동복지과 : 2003 아동복지사업 안내, 2004 아동복지사업 안내
그룹홈의개념 그룹홈의역할 그룹홈의현황 / 이계윤 (혜림원어린이집원장) : 그룹홈의 운영과 실제 이태수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교수) : 아동그룹홈 정책의 문제와 활로 곽숙영 (보건복지부 아동보건복지과) : 그룹홈 사업의 정책방향에 대하여 이태수(현도사회복지대학교), 노혜련(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함철호(위덕대학교 사회 복지학과), 이용교(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광수(은행골 우리집 원장) : 우리나라 아동보호의 실태 및 보호양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아동그룹홈 실태와 발전 방안 김석산(한국복지재단 회장) : 아동복지서비스 전문화 방안-가정위탁보호사업과 그룹 홈 사업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가족ㆍ아동복지과 : 2003 아동복지사업 안내, 2004 아동복지사업 안내 ()
곽숙영 (보건복지부 아동보건복지과) : 그룹홈 사업의 정책방향에 대하여
그룹홈의 문제점(問題點)
그룹홈 발표
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태수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교수) : 아동그룹홈 정책의 문제와 활로
참고 문헌 1. 그룹홈의 정이
그룹홈의 내역
그룹홈 관련 기사
젬마의 집을 다녀와서
아동 복지서비스 중 부모가 아동을 양육ㆍ보호할 능력을 상실하였거나 그 역할을 회피할 때 제공되는 서비스를 대리보호서비스라고 한다.
설명
()
Download : 그룹홈 발표자.hwp( 87 )





정책적인 실천 과제(problem) 측면
結論(결론)
그룹홈의개념 그룹홈의역할 그룹홈의현황
그룹홈의개념(槪念) 그룹홈의역할 그룹홈의현황 / 이계윤 (혜림원어린이집원장) : 그룹홈의 운영과 실제
이태수(현도사회복지대학교), 노혜련(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함철호(위덕대학교 사회 복지학과), 이용교(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광수(은행골 우리집 원장)
시설복지서비스는 다시 크게 대규모 시설복지서비스와 소규모 시설복지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 대리보호서비스는 크게 입양서비스, 가정위탁서비스와 시설복지서비스로 분류되는데 요보호아동 그룹홈은 가정위탁서비스와 시설복지서비스의 중간형태로 큰 단위의 위탁가정이나 작은 시설로 볼 수도 있으나(Kadushin & Martin, 1998: 345) 가정위탁서비스보다는 시설복지서비스에 가까운 정이 으로 보는 경향이 더 지배적이다. 시설의 규모를 몇 명 기준으로 대규모와 소규모로 구분하느냐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규모 시설복지서비스는 30인 이상의 아동을 지history회의 일반 가정과는 명확히 분리된 시설에서 보호ㆍ양육하는 것을 말한다면, 소규모 시설복지서비스, 곧 요보호아동 그룹홈은 5~10명, 많게는 15명의 아동을 일반 지history회 내의 가정집에서 가정과 유사한 형태로 보호ㆍ양육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