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전염병/미생물/감염/세균성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6 20:29
본문
Download : 인수공통전염병미생물감염세균성질환.hwp
만성과 불현성 감염은 감염의 위험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모든 감염이 의심되는 가검물은 생물학적 차폐연구시설 조건하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육식동물은 감염된 고기를 먹음으로써 감염될 수 있으나 소, 양, 돼지, 닭은 저항력이 있다아 급성형의 비저는 당나귀와 노새에서 흔히 발생하여 고열과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수일내에 죽는다. `Farcy`라는 피부형도 있다아 비저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의심되는 사례(instance)를 조사하고, 겉으로 정상인 말을 조사하고 양성동물은 제거한다. spor…(skip)
순서
Download : 인수공통전염병미생물감염세균성질환.hwp( 20 )
[인수공통전염병]
다.
비저는 인수공통 전염병이고 단제동물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이며, 고대로부터 알려져 왔다.
크기는 약 0.5×1.5-4.0㎛의 G-의 간균이며, 편모를 형성하지 않는다(비운동성). pyocyanin, pyoverdin을 생산하지 않는다.
2차적으로 사람에 감염, 동남아시아, 몽고, 파키스탄, 멕시코 등에 국한.
(1) 병원체 (Pseudomonas mallei)
Pseudomonas mallei 는 비저(glanders)의 병원균이다. 서구에서는 드물고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의 일부에 존재하고 말, 노새, 당나귀에 감염하여, 피부의 상처나 상기도를 통하여 사람에게 감염한다. 말의 경우 비저는 일반적으로 만성적으로 진행되며, 수년동안 생존한다. 사람에게도 쉽게 전염되며 95%의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하지만 catalase와 oxidase 생산한다.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인수공통전염병/미생물/감염/세균성질환
[인수공통전염병] , 인수공통전염병/미생물/감염/세균성질환의약보건레포트 ,






비저(Glanders, Malleus)
돈단독균(Erysipelothrix ruthiopathiae)
야토병(Tularemia)
비저(Glanders, Malleus)
비저는 말, 당나귀, 노새등의 단제류에 치사율이 높은 전염성 질병이며, Pseudomonas mallei라는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보통 만성경과를 취하고 상부 호흡기와 폐에 결절과 궤양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