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주류와 식초류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3:00
본문
Download : 20071m_siksanghwalmu.hwp
(8) 감식초
(26) 삼해주(三亥酒) - 전통주 기능보유자 라강형 _서울 태능
순서
우리나라에도 삼한 시대 이래로 전통적인 비법을 간직한 술들이 빚어져 왔으며,
(27) 경주 황금주 (慶州 黃金酒) _경북 경주
III. 결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2) 고 본 주(藁本酒)_충북 제천
2. 전통 식초 조사
(15) 지리산 국화주 _경남 함양
(35) 아 랑 주 (일명)법성토주 _전남 영광
(3) 공주 계룡백일주(충남 무형culture재 제7호 지복남) _충남 공주
(34) 죽엽 청주 (竹葉 靑酒) _전남 담양
특히 조선 시대에는 수백여 종에 달하는 술들이 빚어졌는데, 다양하게 발달된 술은 조상들의
한국의전통주 한국의전통식초 전통주
이에 따라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서구식 술들만 활개를 치게 되어 우리의 전통주는 점점
1. 전통주 조사
(5) 한산소곡주(충남 무형culture재 제3호 - 우희열) _충남 한산
(16) 구기자주 _충남 청양
우리 겨레는 생활 속에서 술과 유난히 깊은 인연을 맺어 왔다.
I. 서론 - 한국의 전통주와 전통식초
(30) 송 미 주 (松米酒)_충남 홍성
(28) 송 엽 주(松葉酒) _울산
한국의전통주 한국의전통식초 전통주 / (식생활과문화)
(12) 강장동충하초주 _전북 김제
(19) 문경 호산춘(聞慶 湖山春) - 경북무형culture재 제18호 권숙자 _경북 문경
(31) 소백산 오정주 (小白山 五精酒) _경북 영주
(2) 전주 이강주(전북무형culture재 제6호 조정형) _전북 전주
(11) 진도홍주 _전남 진도
(9) 토종가시오가피주 _강원 홍천
(17) 경주 교동법주 (慶州 敎洞法酒) - 중요 무형culture재 제86호-다호 배영신 _경북 경주
(1) 주정초
(6) 포도초
생활에 멋과 여유를 더해 주었다.
다.
우리의 전통주류와 식초류에 대해
(4) 맥아초
(14) 산수유주 _경북 영천
(3) 주박초
(25) 칠선주 (七仙酒) - 전통주 기능보유자 이종희 _충북 청주
(20) 당정 옥로주 (堂井 玉露酒) - 경기 무형culture재 제12호 유민자 _경기 용인
(7) 평창머루주 _강원 평창
(38) 기타
(6) 안동소주(경북 무형culture재 제12호 조옥화) _경북 안동
<그림: 전통주의 지역적 분포도>
(23) 송죽오곡주(松竹五穀酒) - 전통주명인 제23호 조영귀 _전남 나주
(21) 추 성 주(秋城酒)_전남 담양
(4) 김천 과하주( 경북 무형culture재 제11호 송강호) _경북 김천
Download : 20071m_siksanghwalmu.hwp( 18 )
(36) 뽕잎 동동주 _대전
알뜰히 돌보아 주는 정결한 마음씨는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으로 이어져 왔다. 우리 조상들은 어른들을 깍듯이
(33) 봉화 선주 (奉化 仙酒) _경북 봉화
(18) 아산 연엽주(牙山 蓮葉酒) - 충남무형culture재 제11호 최황규 _충남 아산
II. 본론
(5) 사과초
그 자취를 감추었다.
(29) 청송 불로주(靑松 不老酒)_경북 청송
(7) 증류초
걸었다.
(8) 내장산 복분자주 _전북 정읍
설명





대접할 줄 알고 받들어 모셨으며, 웃어른들의 나이어린 아랫사람들을 끔찍이 사랑하고
(10) 토종헛개나무술 _강원 홍천
(22) 옥 선 주(玉鮮酒)_강원 홍천
한국의전통주 한국의전통식초 전통주 / (식생활과문화)
술의 종류는 나라마다 무척 많으며 모두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 일제는 주세 정책으로 가정에서 빚은 향토주를 밀주로 단속하여 전통주는 두엄속이나 광 깊은 곳에서 은밀히 빚어져야 했으며, 해방 후에는 서양 술들의 급속한 유입과 정부의 단조로운 통제 정책에 의해 일반 가정에서 술을 빚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기에 이르렀다.
(24) 승주 사삼주 (昇州 沙滲酒) - 전통주 기능보유자 박형모 _전남 승주
(13) 나주 배술 _전남 나주
(1) 서울 문배주(중요 무형culture재 제86-가호 이기춘) _서울
(2) 쌀초
이처럼 조상들의 슬기가 담긴 우리의 전통주들은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급속한 몰락의 길을
(37) 노산춘주 _광주
우리 조상은 사계절에 따라 또 일 년 열두 달의 명절을 중심으로 해서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며 잔치와 놀이로 이웃과 함께 정을 나누면서 흥겹게 살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