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학습理論과매체 B형>사회학습理論에 대해 가능한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기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1:50
본문
Download :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hwp
이들 연구는 학습의 성질에 관한 용어와 가정에는 차이가 있으나, “학습의 기본 원리는 보편적이며, 종-연령-環境의 차이를 초월하고 있다”고 하는 신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① Hull, Guthrie, Tolman, Skinner 등의 학습이론(理論)을 계승-발전시킨다.
서봉연 역(2001). 발달의 理論.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김영채 역(2001). 학습심리학. 서울 : 박영사.
2) 모델링
1. 사회 학습 이론(理論)의 등장
사회 학습 이론(理論)은 Hull을 중심으로 한 연구 집단을 중요한 모체로 발전하여 왔지만, 이론(理論)의 발전과 보급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람은 바로 Albert Bandura이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資料)] 김영상 (2001). 교육방법의 사회인지적 탐구. 서울 : 원미사.
8. 서지사항
종래의 학습이론(理論)에서는 동물 학습의 실험적 연구나 <한 사람의 실험>에 의한 인간 학습의 연구를 중요한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새로운 사회 학습 이론(理論)에서는 2인 또는 그 이상의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행동주의적인 인간 학습 연구에 대한 초기의 왜곡을 바로 잡고자 했다. 그뿐만 아니라, 성격 형성의 원리도 목적으로 삼고 있다아
[] <교수학습理論과매체 B형>사회학습理論에 대해 가능한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기오.
이를 위해 Hull을 중심으로 경험적-행동적인 기초에 근거한 성격 형성 과定義(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는 사회 학습 이론(理論)의 모체가 된 최초의 움직임이다.
2) 관찰학습의 과정
5. 관찰학습
설명
사회학습이론, 반두라, bandura, 사회학습이론에대한고찰, 학습이론
순서
4) 모방의 효율
3) 대리강화
6. 자기효능감
7. 사회학습이론(理論)의 교육적 시사점
다. 사회 학습 이론(理論)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을 통합하는데 새로운 目標(목표)를 두었다. 정신분석학이나 文化(culture) 인류학으로부터 도입한 槪念이나 가설은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형태로 재정립하고, 그에 대한 실험적 검증을 한다. 이를 위해, 정신분석이론(理論)이나 文化(culture) 인류학 등의 아이디어나 정보를 학제적으로 도입한다. 이응인 (1986). 사회학습에 대한 연구. 동대논총 제 16집.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김정휘 외(2002). 교육심리학 입문. 서울 : 원미사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모델
장현갑․안신호․이진환․신현정 외 공역(1999). 심리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2. 사회 학습 이론(理論)의 학습에 대한 기본 가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0-1학기 유아교육학과 4학년 교수학습理論과매체 B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③ 실험적 접근방법을 앞세운다.
레포트 >
2) 학습자와 環境의 관계
1) 모방의 보편성
1) 모방학습과 행동주의적 관점
4. Bandura의 사회 학습 이론(理論)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김의철․박영신․양계민(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서울 : 교육과학사.
1) 관찰학습의 주요 양상
3) 관찰학습의 교수에의 적용
사회 학습 이론(理論)(social learning theory)은 지금까지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理論)과 똑같이 인간의 행동에 대한 형성 원리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3) 모방에서 강화의 원천
3) 학습의 결과
이성진 (1996). 교육심리학 서설. 서울 : 교육과학사.
Download :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hwp( 32 )
3. 용어의 定義(정의)
4) 자기강화
- 방통대 2010-1학기 유아교육학과 4학년 교수학습이론과매체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영상 (2001). 교육방법의 사회인지적 탐구. 서울 : 원미사. 김영채 역(2001). 학습심리학. 서울 : 박영사. 김정휘 외(2002). 교육심리학 입문. 서울 : 원미사 서봉연 역(2001). 발달의 이론.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이성진 (1996). 교육심리학 서설. 서울 : 교육과학사. 이응인 (1986). 사회학습에 대한 연구. 동대논총 제 16집.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장현갑․안신호․이진환․신현정 외 공역(1999). 심리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김의철․박영신․양계민(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서울 : 교육과학사.
①에서 언급한 Hull의 행동주의 체계, Guthrie의 접근학습모형, Tolman의 목적적 행동이론(理論),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理論)은 학습이론(理論)의 최전성기를 대표하는 연구들이다.
1) 강화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210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B%B0%98%EB%91%90%EB%9D%BC%EC%9D%98%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5B2%5D-2103_01.gif)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2103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B%B0%98%EB%91%90%EB%9D%BC%EC%9D%98%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5B2%5D-2103_02_.gif)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2103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B%B0%98%EB%91%90%EB%9D%BC%EC%9D%98%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5B2%5D-2103_03_.gif)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2103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B%B0%98%EB%91%90%EB%9D%BC%EC%9D%98%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5B2%5D-2103_04_.gif)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1][2]-2103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B%B0%98%EB%91%90%EB%9D%BC%EC%9D%98%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5B2%5D-2103_05_.gif)
② 발달의 사회적 측면을 설명(explanation)하고자 한다. 이 이론(理論)들은 행동의 기본 원리에 대한 보편성의 주장에 덧붙여, 성격 유형 및 사회성의 획득을 포함한 인간의 정신발달에 관한 행동주의 이론(理論)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