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지역 문예 민족형식 논쟁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23:27
본문
Download : 延安 지역.hwp
.
5. 논쟁의 진행 및 종결 과정
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 / (문예 민족형식 논쟁)
또 1939.4.16.의 《문예전선》 제1권 제3기에 실린 艾思奇의 〈구형식 운용의 기본원칙舊形式運用的基本原則〉에서도 「민족신문예」라는 말은 등장하지만 「민족형식」이란 말은 보이지 않는다.
순서
3. 논쟁의 발단 과정
(1) 「민족형식」이란 용어와 관련하여
1. 머리말
7. 맺음말
6. 논쟁의 득실
설명
* 延安 지역의 민족형식 논쟁 관련reference(자료) 연표
다. 그러나 같은 책에 실린 陳伯達의 〈문예의 민족형식에 관한 잡기關於文藝的民族形式問題雜記〉(이하 〈민족형식 잡기〉라 약칭함)에는 「민족형식」이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후 「민족형식」이라는 말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기 처음 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에 대한 노력이 곧바로 「민족형식」이라는 구호로 대표되었던 것은 아닐것이다. 柯仲平의 〈중국(中國)기풍을 말함〉에서는 이 새로운 노력의 목표(目標)를 중국(中國)적 풍격이란 의미의 「중국(中國)기풍」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으며, 周揚의 〈우리의 태도〉 역시 새로운 문예운동의 전개를 주장하면서도 민족형식의 창조라는 말을 내세우고 있지는 않다.
4. 延安 지역 논자의 주장
4. 延安 지역 논자의 주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 / (문예 민족형식 논쟁)
Download : 延安 지역.hwp( 54 )
1939년 초반까지만 해도 「민족형식」이라는 말은 아직 본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周揚의 이 글에는 “국제주의 역시 민족화된 형식을 통해 표현되어야 한다”라는 귀절이 들어있기는 하다.
2. 논쟁 발단 전의 상황





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문예 민족형식 논쟁 문예 민족형식 논쟁
연안지역 문예 민족형식 논쟁에 대하여
상술한 것처럼 延安에서는 이를테면 「민족문예」라 할 수 있는 일종의 새로운 민족적 대중적 문예의 창조가 문예운동의 중심 문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毛澤東이 말한 ‘마르크스 주의라는 보편적 theory 과 중국(中國)혁명이란 구체적 실천의 결합’을 되풀이한 것일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