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54
본문
Download : 택리지의 재해석.hwp
다. 미풍이 살짝 불면 고운 모래가 날아가서 작게는 무더기가 되고, 크게는 봉우리를 이룬다. 또 우리 조상들의 박식한 지리적 지식에 감탄하며, 우리국토에 대해 다시 한번 공부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부족한 내가 나름대로 과거와 현재를 중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다. 또 사주와 해안사구의 형성과 change(변화)무쌍한 이동에 대상으로하여도 說明(설명) 하고 있다아
Ⅲ-Ⅱ. 생리
Ⅳ. 맺음말
* 그 안은 학포대호인데, 주위가 30리이며 물이 깊으면서 맑다.
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택리지 서평, 이중환
Ⅱ-Ⅱ. 황해도
Ⅱ-Ⅴ. 전라도
Ⅲ-Ⅲ. 산수
Ⅲ. 복거총론
Ⅱ-Ⅳ. 경상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택리지의 재해석
한다는 부분은 배수가 잘 되는 카르스트 지역의 속성 을 說明(설명) 하고 있는 부분이다. 아침저녁으로 위치가 옮겨져 하루 사이에도 change(변화)하는 것을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바로 서해의 금모래와 같아 매우 이상하다.
Ⅱ-Ⅰ. 평안도
[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설명
* 우리나라 지세는 동쪽은 높고 서쪽은 낮으며, 강은 산골에서 나와서 유유하고 한가한 모양이 없고, 항상 거꾸로 말려들고 급하게 쏟아지는 형세이다. 학포대호라고 하는 곳은 현재는 감호라는 석호이며, 해당화의 아름다운 모습에 대한 묘사는 현재에도 해당화로 유명한 명사십리가 과거에도 역시 아름다운 해당화로 만발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사면은 모두 흰 모래 언덕이고, 모래 속에서 해당화가 뚫고 나와 빨갛게 피어서 비단을 헤쳐 놓은 것 같다. 209p





Download : 택리지의 재해석.hwp( 27 )
지리학도의 필독 도서라 할 수 있는 고전!! 택리지를 읽고나서 , 부분 부분을 발췌하여 새롭게 지리학적으로 재해석한 참신한 레포트(report) ! 기존의 일반 서평과는 새로운 시도를 한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레포트(report) 입니다. [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Ⅰ. 머리말
[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Ⅳ. 맺음말
Ⅲ-Ⅰ. 지리
Ⅱ-Ⅵ. 충청도
Ⅱ. 팔도총론
택리지의 몇몇 부분을 현대 지리학적으로 재해석 하면서 비록 몇 개의 잘못 판단한 부분을 발견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이 현대지리학적인 관점으로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정확한 것을 보며 과연 조선시대의 베스트셀러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북한에 있는 강원도 원산의 명사십리에 대해 說明(설명) 하고 있는 부분이다. 202p
순서
☞ 한반도의 지형이 신생대 제3기와 제4기에 걸쳐 동해의 지각이 확대되면서 작용한 횡압력으로 인해 동해안을 축으로 지반의 융기가 전개되어 산지가 동쪽으로 기우는 비대칭적 지형이 형성되었는데, 이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발생하는 요곡운동을 경동성 요곡운동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형성된 동고서저의 지형을 경동성 지형이라 하는데 위 글로 미루어 보아 그 당시에도 우리나라의 경동성 지형에 대하여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아
Ⅱ-Ⅲ. 강원도
☞ 물의 용해 작용으로 이루어진 석회암 지형을 카르스트지형이라고 하는데 위 부분은 강원도 삼척지역에 발달한 카르스트지역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고 있다아 구멍이 있다는 부분은 돌리네와 우발라등의 지형을 묘사한 것이고 냇물이 새서 낙숫물 지듯
[택리지] 택리지의 재해석
지리학도의 필독 도서라 할 수 있는 고전!! 택리지를 읽고, 부분 부분을 발췌하여 새롭게 지리학적으로 재해석한 참신한 레포트! 기존의 일반 서평과는 새로운 시도를 한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