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커버스토리]현대자동차 PI exampl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22:51
본문
Download : 100315103141_.jpg
글로벌 판매·생산·제고 상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도 갖췄다. 특히 국내 생산과 해외 생산 물량에 대한 통합 수요관리 체계를 정립함으로써 글로벌 판매 및 생산관리 체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순서
다. 이처럼 현대자동차가 중국시장에서 초고속 성장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판매와 생산 양면에서 성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는 바로 공급망관리(SCM) 혁신이 성과를 얻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分析(분석)이다. 2009년 1∼7월 중국시장에서 도요타 판매량은 20만8000여대로 전년 동기 대비 9.6% 감소한 반면 현대자동차는 30만1000여대로 전년동기 대비 66.3% 증가했다. 이를 통해 시장 상황 및 고객의 요구를 생산부문에 유기적으로 연계해 變化(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improvement한다는 것이 目標(목표)였다. 협력업체와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바츠(VAATZ)시스템을 구축하고 판매·생산계획 분야의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프로젝트를 처음 하면서 현대자동차는 공급망관리를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그 중 몇몇 완성차 업체만이 흑자를 기록했고 이중 현대자동차가 단연 돋보였다. 또 수요계획 시 영업 내부의 합의 프로세스를 정착시켜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정립해 예측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노력도 병행해야 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kr
◇PI로 글로벌 판매·생산 관리체계 확립=이를 위해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4년 9월 PI를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경기침체로 인해 2009년 상반기 도요타를 비롯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모두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그 일환으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간의 엔진, 변속기 할당계획을 APS로 통합해 최적 할당계획을 수립했다. 즉, 정확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커버스토리]현대자동차 PI example(사례)
결국 현대자동차가 특정 시장에서 도요타를 제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공급망관리 혁신을 통해 필요한 지역에, 필요한 시점에 적당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또 2009년 도요타의 중국 승용차 시장점유율도 4.9%로 전년보다 1.6%p 하락한 반면 현대자동차는 1.9%p 상승해 7.1%가 됐다.
당시 현대자동차가 생산체제로 變化(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장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툴과 예측된 정보를 전담 관리하는 조직이 필요했다.
레포트 > 기타
현대자동차의 최근 괄목할 만한 성장은 해외 생산 및 판매 확대에 기인한다. 완성차 생산계획의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엔진, 변속기 등의 자원할당 기준을 수립하고 자재, 설비, 노조 등 생산상의 제약을 최소화 할 필요도 있었다. 이러한 글로벌 생산 판매에 힘입어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 이후 꾸준히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경기침체를 맞은 2009년에도 매출액이 31조8593억원을 기록해 전년도 매출액인 32조1897억원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이는 전 세계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세다.
두번째는 영업실적과 시장별·차급별 수요變化(변화)에 최적화했다는 것이다.
설명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크게 세가지를 improvement할 수 있었다. 시장점유율도 6.9%로 지난 2008년보다 1.6%p 성장했다. 주문이 접수되면 생산계획에 즉시 반영해 시장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이 요구한 차량에 대한 납기일 제시도 이뤄져야 했다. 이를 통해 두 회사간의 회의를 거쳐 물량을 조정하도록 하고 프로세스를 improvement했다. 특히 SCM 영역에 상대하여는 기존의 생산자 중심의 구조(푸시 방식)를 시장 및 고객 중심의 구조(풀 방식)로 전환하기로 했다. 우선 PI추진project 도출 등 마스터플랜 작업을 12월까지 진행하고 이듬해 3월부터 9월까지 전략·프로세스·조직 등에 대한 상세설계를 진행했다. 우선 시장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수요예측시스템을 구축했으며 법인, 대리점 등 시장접점의 수요를 반영하는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009년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년 대비 46%라는 경이로운 판매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중국과 북미 시장에서 거둔 성과는 대형 자동차 메이커들이 쓰러져가는 상황에서 굳건히 견디게 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해외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이와 함께 시장 및 고객이 요구하는 차를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 생산계획의 정확성도 높여야 했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납기 예시 정보를 2주간의 생산계획에 반영된 것만 알 수 있었지만 이제는 내수와 수출 모두 5개월로 확대됐다.
◇2000년 초부터 SCM 혁신 본격화=현대자동차는 지난 2000년 초부터 SCM 부문에 대한 혁신활동을 추진해 왔다. 이외에도 글로벌 판매·생산·재고 정보를 한눈에 파악해 문제 발생시 효율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도 요구됐다. 이어 2006년 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시스템 구현 등을 진행하고 2007년 4월부터 PI 확장과 고도화를 처음 했다.
또 판매·생산 계획을 정교화 할 수 있었다.
첫째는 중국으로 대표되는 신흥시장에서 현대자동차가 도요타를 월등히 앞서고 있다는 것이다. 각 기업을 둘러싼 경영環境(환경)도 유사하다고 分析(분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현대자동차가 과거가 아닌 현재의 도요타를 앞지르는 것이 두가지 있다
[커버스토리]현대자동차 PI 사례
이후 현대자동차는 2005년부터 연간 600만대 이상의 생산·판매가 가능한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사적인 프로세스혁신(PI)활동을 처음 했다.





[커버스토리]현대자동차 PI example(사례)
현대자동차는 2008년부터 해외 판매법인·공장에 대해 표준 판매 및 생산 프로세스를 정립해 글로벌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미국과 유럽을 처음 으로 글로벌 SCM 확산을 추진했다. 2009년 현대자동차의 영업이익률은 5.7%로 글로벌 1위 수준의 수익성을 보였다. 이는 상대적으로 신흥시장과 소형차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커버스토리]현대자동차 PI 사례
Download : 100315103141_.jpg( 73 )
◇적기 공급으로 중국 등에서 도요타 제쳐=전문가들은 지금의 현대자동차는 과거 도요타가 급성장 하던 시기인 1980년대와 유사한 環境(환경)을 맞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시장에서의 점유율과 글로벌 생산판매량 등에 있어 당시 도요타의 성장세와 지금의 현대자동차 성장세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