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02:01
본문
Download : 24절기 의미.hwp
망종(芒種, 양력 6월6.7일)
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 망종이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며, 모내기나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이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 단오를 전후하여 스타트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이면 모두 끝난다. 곡우물은 주로 산다래나 자작나무 또는 거자수,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나오는 물을 말하는데, 그 물을 마시면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먹는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 24절기 의미생활전문레포트 ,
24절기 의미
Download : 24절기 의미.hwp( 76 )
곡우(穀雨, 양력 4월20.21일)
穀雨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며 본격적인 농경이 스타트된다된다. 이 무렵에는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소만(小滿, 양력 5월21.22일)
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로,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며 모내기가 스타트되고 보리 수확(收穫)을 하기 스타트한다.레포트/생활전문
곡우(穀雨, 양력 4월20.21일)
,생활전문,레포트
설명
순서
穀雨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며 본격적인 농경이 처음 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곡우(穀雨, 양력 4월20.21일)穀雨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며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입하(立夏, 양력 5월6.7일)
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분망해지며,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도 많이 자라게된다된다.
하지(夏至, 양력 6월21.22일)
夏至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 이 날은 태양이 황도상의 가장 북쪽인 하지점에 이르러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며, 하지(夏至) 이후에 더워지기 스타트하여 삼복(三伏) 시기에 가장 덥게 된다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skip)
다.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소서(小暑, 양력 7월7.8일)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스타트된다된다. 그래서 ꡐ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ꡑ, 즉 그해 농사를 망친다는 말이 있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므로 전라남도나
경상남북도, 강원도 등지에서는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먹으러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