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9:24
본문
Download : 발음지도.hwp
그러므로 국어에서 앞 형태소의 끝닿소리는 홀소리로 스타트하는 형식형태소가 뒤따를 때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된다 이것은 닿소리가 다음에 나타날 홀소리의 발음 위치를 예상하지 못하므로 닿소리로 음절을 끝내고 다음 음절을 홀소리로 스타트하기 어렵기 때문일것이다
(2)겹받침 줄이기
◉定義(정의)
겹받침의 둘째 닿소리는 끝소리 자리에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때 없어진 뒤에 뒷소리에 대한 ‘울림소리 되기’의 음운규칙은 적용되지 않으며, /ㄹ/와 그의 다른 자리에서 …(省略)
다.발음교육과발음지도 , 발음지도인문사회레포트 ,
발음지도
레포트/인문사회
발음교육과발음지도
순서






설명
Download : 발음지도.hwp( 86 )
(1)소리이음
◉定義(정의)
형태소의 경계와 음절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앞의 형태소의 끝 닿소리는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되어 음절의 짜임새에 맞도록 조정되는 현상이다.
◉예시
먹이→[머기] 밖에→[바께]
◉원리
일반적으로 닿소리는 첫소리 자리에 올 때 가장 자연스럽고, 홀소리는 닿소리 뒤에 올 때 가장 자연스럽다.
,인문사회,레포트
발음지도에 대한 글입니다.
발음지도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