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과 핵폐기물 처리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7:57
본문
Download : 부안과 핵폐기물 처리장.hwp
2008년에 가장 빨리 포화된다는 울진핵발전소의 경우 영광과 고리에서 완료되고 월성에서 진행중인 초고압 압축을 기존 핵폐기물에 시행하고 2003년 원자력 백서 내용대로 핵발전소 1기당 연간 100드럼의 핵폐기물이 발생한다고 계산하면 2023년까지는 문제없다는 결과가 나온다. 2007년에 상용화하겠다고 말하고 있는 유리고형화 기술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2197년까지도 문제없이 보관할 수 있다아 현재 초고압압축 기계가 발전소별로 돌아가면서 중저준위 핵폐기물을 압축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월성은 2001년 5,250드럼이던 것이 2002년 4,596드럼으로 전년에 비해 전체 부피가 오히려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아 기존 핵폐기물은 물론 발생량까지 압축해 무려 1,210드럼을 줄인 것이다.
1993년 굴업도 핵폐기장 건설에 대해여 더 알아보자. 당시 government 는 1996~2000년까지 핵폐기물 처리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다고 주장하였으나 건설 계획 백지화 이후 압축기술 개발로 13~15년간 문제없다고 말을 바꿨고 다음 해에는 유리고형화 기술로 폐기물 부피를 20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아 government 의 2008년 포화설을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부안 , 부안과 핵폐기물 처리장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부안과 핵폐기물 처리장






Download : 부안과 핵폐기물 처리장.hwp( 41 )
부안
본 자료(資料)는 원전 수거물 처리장 부지로 선정된 부안에서의 반대운동을 통해 부지 선정의 적합성과 정당성을 알아보고, 현 국책사업의 problem(문제점)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공학기술,레포트
본 자료는 원전 수거물 처리장 부지로 선정된 부안에서의 반대운동을 통해 부지 선정의 적합성과 정당성을 알아보고, 현 국책사업의 문제점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Ⅰ 서론
1. 선정이유
2. 핵 발전
2.1 핵 발전의 종류
2.2 원전 건설 상황
3. 원전 수거물의 처리와 부안문제
Ⅱ 본론
1. 원전 수거물 처리장
1.1 건설의 피료썽
1.1.1 원전 임시 수거물의 포화년도 2008년
1.1.2 2023년 까지 사용가능
1.2 위도의 부지 적합성
1.2.1 전문가들의 조사 결과 적합 판정
1.2.2 조사과定義(정의) 결점. 위도의 단층 발견
1.3 선정과定義(정의) 정당성
1.3.1 자율 유치신청 공고문에 따른 유치 신청
1.3.2 부안군수의 독단적 결정. government 의 안일한 태도
2 핵에너지
2.1 핵 에너지의 피료썽
2.1.1 인류의 유일한 에너지
2.1.2 대체에너지의 개발 가능성
2.2 핵 에너지의 안정성
2.2.1 연료공급의 안정성. environment(환경) 친화적 에너지
2.2.2 핵의 위험성. 전세계적 탈핵 움직임
Ⅲ 요약 및 제언
1. 현 국책사업의 전면 재검토
1.1.2 2023년 까지 사용가능
한수원은 지난해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 경희대 등 국내 최고의 민간 원자력Engineering자들에게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방식에 대한 연구용역을 주었다. 올해 초 한수원에 제출된 이 보고서는 사용후핵연료를 기존 원전부지에 저장하는 것이 부안처럼 별도의 핵폐기장을 조성하는 방식보다 저렴하고 안전하다는 conclusion 을 내리고 있다아 그러나 한수원은 이 보고서의 권고를 지난 9개월 동안 은폐해 왔고 이후에는 공개될까 우려하여 아예 연구결과를 인위적으로 뒤집으려고까지 했다. 결국 이러한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자 이번에는 애초 연구project에도 없었던 “지역지원비”가 빠져있어 “부실한 연구”였기 때문에 폐기했었다는 둥 태연스럽게 말바꾸기를 하였다.
게다가 새로운 저장시설을 원전터에서 매우 작은…(drop)
설명
다.